요즘 슬기로운 통계생활 데이터분석 전문가 (ADP) 자격증 과정을 찾아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만큼 AD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본 글에서는 ADP 자격검정 응시자격과 합격기준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ADP 응시자격
ADP 자격증 관할 기관인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의 응시 자격에 따르면 ADP 자격검정에 응시하려는 지원자는 아래의 기준들 중 하나만 만족하면 됩니다.
- 응시 기준
-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ADsP) 자격을 취득한 자
-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
-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 1년 이상인 자
-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 3년 이상인 자
- 전문대학 졸업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 6년 이상인 자
- 고등학교 졸업 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 9년 이상인 자
ADP 시험을 응시할 수 있는 조건들이 다양하죠? 많은 응시자분들은 보통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자격증 (ADsP)을 먼저 취득 후, ADP에 응시합니다. ADsP를 따고 ADP를 보는 이유는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됩니다.
- 실무경력이 필요없다.
- 짧은 시험 준비기간(보통 준비기간 2개월)
하지만, ADP 응시자격을 단기간에 만족했다고 해서 ADP를 단기간에 따는 것은 아닙니다. 모래 위에 지은 집은 쉽게 무너지기 마련입니다. ADP는 천천히, 단단히 마음먹고 준비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ADP 합격기준
ADP 자격검정은 필기와 실기 시험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합격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필기 합격
- 총점 100점 기준 70점 이상, 단 과목별로 40% 미만을 취득한 경우 과락 처리
- 실기 합격
- 실기 총점 100점 기준 (머신러닝 60점, 통계 40점) 중 75점 이상
- 최종합격
- 응시자격심의 서류 통과자
합격자는 응시자격 증빙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각 검정회차별로 제출시기와 제출처는 홈페이지에서 별도로 공지됩니다. 응시자격 증빙서류로는 경력 또는 재직증명서, 최종학력증명서, 자격증 사본 등이 필요합니다.
ADP 시험 준비과정 및 기출자료
다음은 ADP 시험에 대한 전반적인 준비과정에 대한 유튜브 영상이니 참고 바랍니다.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투여되는 시험입니다. 현재 자신이 준비가 되어있는지 ADP 기출문제들을 보시고 판단해보세요!
슬기로운 통계생활에서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 (ADP) 자격증 실기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ADP는 혼자 공부하기 정말 어려운 시험입니다. 고민하지 마시고, 저희에게 오세요. 합격까지 책임져드립니다. 🙂